홈으로 이동

한국 반도체 업계, HBM 기술로 시장 방어 나선다

AI가 생성한 HBM 이미지
AI가 생성한 HBM 이미지

미국의 관세 압박과 중국 기업들의 추격 속 경쟁력 강화 필요

한국 반도체 기업들이 고대역폭 메모리(HBM) 기술을 통해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HBM은 여러 개의 D램을 수직으로 적층한 고성능 메모리로, 인공지능(AI) 가속기 및 고성능 컴퓨팅(HPC) 등 첨단 기술 분야에서 필수적인 부품으로 자리 잡았다. 현재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는 HBM 시장의 약 90%를 점유하고 있으며,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한국 반도체 업계는 미국의 관세 부과 가능성과 중국 메모리 반도체 업체들의 급속한 추격이라는 이중의 도전에 직면해 있다.

미국은 반도체를 포함한 주요 산업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를 검토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차기 대선 출마를 선언하며 강력한 보호무역주의 정책을 예고한 가운데, 철강과 알루미늄뿐만 아니라 반도체, 자동차, 의약품 등 다양한 산업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가 추진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반도체는 1997년 세계무역기구(WTO)의 정보기술협정(ITA)에 따라 무관세로 거래되고 있었으나, 미국이 이 방침을 변경할 경우 한국 반도체 기업들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한국의 대미 반도체 수출 비중은 7.5%로 중국(32.8%)이나 홍콩(18.4%)보다 낮지만, 미국의 관세 부과가 현실화된다면 반도체 업계의 부담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미국은 자국 내 반도체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반도체법(CHIPS Act)을 시행하며 대규모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한국 반도체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전략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한편, 중국 반도체 업체들의 성장도 한국 기업들에게 큰 도전 과제가 되고 있다. 중국의 대표적인 D램 제조업체인 CXMT는 2020년까지만 해도 D램 시장 점유율이 거의 없었으나, 2024년에는 5%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며, 2025년에는 10%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CXMT의 이러한 성장세는 기존 글로벌 D램 강자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게 위협이 될 수 있다.

또한, CXMT는 HBM 시장에서도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HBM2와 HBM2E 제품을 양산하며 기술력을 빠르게 확보하는 한편, 28만㎡ 규모의 HBM 공장을 건설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한국 반도체 기업들이 주도하는 HBM 시장에 대한 도전으로 해석될 수 있다. 특히, HBM 기술은 고성능 컴퓨팅과 AI 반도체 분야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고 있기 때문에, CXMT가 이 시장에서 일정 수준의 점유율을 확보한다면 한국 기업들의 경쟁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처럼 한국 반도체 업계는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와 중국 업체들의 추격이라는 복합적인 위기에 직면해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 반도체 기업들은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공정 혁신을 추진해야 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한 전략적인 대응이 요구된다. 특히, HBM 기술의 발전을 지속하고, 차세대 반도체 분야에서 선도적인 입지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다.

경제 관련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