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 국내 AI 반도체 스타트업 퓨리오사AI 인수 추진

메타, AI 반도체 의존도 낮추기 위한 전략적 행보
메타(Meta)가 국내 AI 반도체 스타트업 퓨리오사AI의 인수를 추진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퓨리오사AI는 데이터센터 서버용 AI 추론 연산에 특화된 반도체를 개발하는 팹리스 기업으로, 삼성전자와 AMD 출신의 백준호 대표가 2017년 설립한 회사다. 최근 퓨리오사AI는 2세대 AI 반도체 '레니게이드(Renegade)'를 공개하며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메타는 현재 엔비디아의 AI 칩 의존도를 줄이고 자체 AI 반도체 개발을 모색하는 전략을 추진 중이다. 이러한 방향성에 따라 퓨리오사AI의 인수를 검토하고 있으며, 업계에서는 인수 논의가 이르면 이달 내로 마무리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하고 있다. 메타는 AI와 데이터센터 인프라 구축에 최대 650억 달러(약 94조 원)를 투자할 계획을 세우고 있으며, 이번 인수 추진도 이러한 전략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퓨리오사AI의 기업 가치는 약 1조 원으로 평가된다. 인수 이후 퓨리오사AI가 메타의 AI 반도체 개발 전략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메타는 자사 AI 모델과 데이터센터 운영을 위한 자체 반도체 개발을 가속화하고 있으며, 퓨리오사AI의 기술력이 이를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번 인수 추진에 대해 국내 AI 반도체 생태계의 약화와 핵심 기술 유출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퓨리오사AI는 국내에서 독자적인 AI 반도체 기술을 확보한 몇 안 되는 기업 중 하나이며, 특히 AI 추론 연산에 특화된 반도체 설계 역량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인수 이후에도 핵심 연구개발(R&D) 역량이 국내에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현재 퓨리오사AI는 SK하이닉스와 협력해 고대역폭메모리(HBM)를 공급받고 있으며, LG의 AI 모델 '엑사원(Exaone)' 개발에도 참여하고 있다. 메타가 퓨리오사AI를 인수할 경우, 이러한 국내 기업들과의 협력 관계에도 변화가 예상된다. 특히 SK하이닉스와의 협력 지속 여부가 중요한 쟁점이 될 전망이다.
업계 전문가들은 메타가 AI 반도체 개발을 위해 퓨리오사AI를 인수할 경우, 글로벌 AI 반도체 시장에서의 경쟁 구도가 변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한다. 메타는 엔비디아, 구글, 애플과 같은 글로벌 IT 기업들과 경쟁하며 AI 반도체 시장에서 입지를 확대하려 하고 있다. 따라서 퓨리오사AI의 기술력이 메타의 전략과 결합될 경우, AI 반도체 분야에서 새로운 경쟁 구도가 형성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