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수출 규제 속에서도 중국 맞춤형 기술 개발로 입지 강화
엔비디아는 최근 미국 정부의 AI 반도체 수출 규제가 강화되는 상황에도 불구하고 중국 시장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상하이에 새로운 연구개발(R&D) 센터를 설립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미국 백악관이 엔비디아의 첨단 AI 칩의 중국 수출을 제한하는 조치를 발표한 이후에 나온 전략적 행보로, 엔비디아는 중국 시장에서의 입지를 유지하고 확대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이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상하이에 들어설 이 R&D 센터는 중국 고객의 복잡하고 특수한 요구 사항에 맞는 기술 개발에 초점을 맞출 예정이다. 엔비디아는 이를 통해 현지 고객과의 협력 관계를 강화하고, 중국 시장을 위한 맞춤형 제품과 솔루션을 개발할 계획이다. 자율 주행차 기술과 같이 고도의 기술이 필요한 분야에서도 연구가 이루어질 예정이며, 미국의 수출 규제를 위반하지 않도록 기술 이전과 관련된 법률을 철저히 준수할 방침이다.
핵심 설계와 생산은 중국 외 지역에서 진행되며, 상하이 R&D 센터는 중국 내 고객의 니즈를 반영한 제품 검증 및 현지화 작업에 중점을 두게 된다. 엔비디아는 칩 설계와 관련된 핵심 지식재산권을 중국에 이전하지 않겠다는 원칙을 명확히 했으며, 이를 통해 미국 정부의 수출 규제도 회피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엔비디아는 상하이에 약 2,000명 이상의 직원을 두고 있으며, 주로 영업과 지원 부서에서 근무 중이다. 새롭게 설립될 R&D 센터는 이러한 기존 인력에 연구개발 인재를 추가 채용해 기술 역량을 대폭 확충할 계획이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중국 시장의 성장 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그는 향후 수년 내에 중국 AI 시장이 50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보며, 상하이 R&D 센터가 이 시장에서의 엔비디아의 영향력을 확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엔비디아는 중국 시장을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성장 동력 중 하나로 보고 있으며, 이번 센터 설립을 통해 중국 맞춤형 전략을 보다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