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이동

레딧, 실적 발표에 주가 급등… 사용자 증가와 AI 기대감 겹쳐

김진수IT
레딧 로고 이미지. AI 생성 이미지
레딧 로고 이미지. AI 생성 이미지

31% 사용자 수 증가와 데이터 활용 기대감이 투자 심리 자극하며 강세 이끌어

소셜 미디어 플랫폼 레딧(Reddit)이 최근 실적 발표를 통해 눈에 띄는 성과를 공개하며 주가 급등을 이끌어냈다. 특히 일일 활성 사용자 수의 큰 폭 증가와 함께, 인공지능(AI) 기술 발전에 따른 데이터 활용 기대감이 더해지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을 집중시켰다. 이번 실적 발표에서 나타난 주요 지표는 레딧의 성장 가능성과 수익 확대 전망에 대한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되며 시장 분위기를 단숨에 반전시켰다.

레딧이 공개한 2025년 1분기 실적에 따르면, 플랫폼의 일일 활성 고유 사용자(Daily Active Unique users, DAUq) 수는 전년 대비 무려 31% 증가해 1억 810만 명을 기록했다. 특히 미국 내 사용자 수는 21% 증가한 5,010만 명, 국제 사용자 수는 41% 증가한 5,800만 명으로 나타나, 미국 중심의 서비스에서 글로벌 플랫폼으로의 전환 가능성을 보여줬다. DAUq는 하루 동안 플랫폼을 방문한 중복되지 않은 실제 이용자 수를 의미하며, 소셜 미디어의 시장 가치를 판단하는 핵심 지표로 사용된다. 이는 레딧이 단기간 내 이용자 기반을 확장하는 데 성공했음을 의미하고, 곧바로 광고 수익 확대 가능성으로 이어졌다.

레딧은 광고를 주요 수익원으로 삼고 있으며, 이용자 수 증가에 따른 광고 노출 기회 확대가 투자자들의 기대를 끌어올리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실제로 레딧의 1분기 광고 수익은 전년 대비 61% 증가한 3억 5,860만 달러로 나타났으며, 전체 매출 또한 61% 증가한 3억 9,240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2분기 매출 전망도 4억 1,000만 달러에서 4억 3,000만 달러로 제시되며 긍정적인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이는 레딧이 사용자 증가를 실제 매출로 연결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된다.

한편 레딧의 사용자 생성 콘텐츠가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로 활용될 가능성도 투자 심리를 자극하는 요인 중 하나로 작용했다. 최근 대규모 언어 모델(LLM)의 발전으로 인해 방대한 양의 양질의 텍스트 데이터가 중요한 자산으로 평가되면서, 레딧의 커뮤니티 기반 콘텐츠는 AI 학습용 데이터로서 높은 가치를 지닌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레딧은 이를 활용해 데이터 라이선싱 사업에 진출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으며, 이는 광고 외의 새로운 수익원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기대감을 낳고 있다. 이와 관련해 레딧은 이미 일부 기업들과 데이터 제공 계약을 맺은 것으로 알려졌으며, 앞으로 이 분야에서의 확장이 주목된다.

레딧의 커뮤니티 중심 플랫폼은 사용자가 증가할수록 다양한 주제의 콘텐츠가 활발히 생성되고, 이는 기존 사용자들의 만족도 향상과 신규 사용자 유입을 동시에 유도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든다. 사용자 기반 확대와 함께 AI 기술과의 연계 가능성, 광고 시스템의 발전 등이 맞물리면서 레딧은 플랫폼으로서의 가치뿐만 아니라 수익 모델로서의 경쟁력도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전략은 투자자들에게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을 확신시키는 데 큰 도움을 주고 있으며, 레딧의 주가 상승 배경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김진수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커리어를 시작해 다양한 웹 서비스의 구축과 유지보수 경험을 쌓아왔습니다. 사용자 경험과 인터페이스 구현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웹 기술이 실제 서비스에 어떻게 적용되고 진화하는지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React, Next.js, WebAssembly 등 최신 프레임워크와 브라우저 기술의 흐름에 민감하며, 개발 환경의 변화가 개발자 생태계와 산업 구조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기술의 개념뿐 아니라 그 맥락과 파급력을 함께 전달하며, 실무 기반의 시각으로 IT 전반을 바라봅니다.

IT 관련 게시물